2022년 새해가 밝은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3일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여러분들은 2022년 어떻게 보내셨나요? 올해 초 세웠던 계획대로 잘 보내셨나요?
아니면 계획 실행에 실패하셨나요? 어떤 경우라도 좋습니다
목표한 바를 이루었다면 제일 좋은 한 해를 보내신거고,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했어도 다음 해의 새로운 목표 설정과 일정 관리를 시작하면 되니까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다가올 2023년에 대해서 간단히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2023년 띠
여러분은 십이간지에 대해 아시나요?
십이간지는 고대 시대 때 날짜나 달 그리고 연도를 세던 단어인 '10간'과 땅의 시간과 방위를 나타내는 단어인 '12지'를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이 때 '12지'는 불교에서 유래된 단어로써 땅을 지키는 12가지 동물을 뜻하며, 옛 사람들은 불교에서 이 12가지 동물이 세상의 모든 잡귀와 악귀를 몰아낸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현재 불교의 사탑과 절 등에 조각 형태로 여전히 많이 남아있고, 얼굴은 동물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몸은 사람과 같은 형상을 지닌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십이간지(12간지)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요?
먼저 10간의 순서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이고
12지의 순서는 자(쥐)/축(소)/인(호랑이)/묘(토끼)/진(용)/사(뱀)/오(말)/미(양)/신(원숭이)/유(닭)/술(개)/해(돼지) 순입니다
이렇게 10간과 12지를 합쳐 최대 60가지의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을 60갑자라고 부르며,
매 년 10간과 12지에서 각각 하나씩 따와 그 해에 해당하는 이름을 부르게 됩니다.
그럼 2023년 띠는 무엇일까요?
바로 계묘년, 검은 토끼띠의 해입니다
토끼띠는 1951년생, 1963년생, 1975년생, 1987년생,1999년생에 태어난 사람들에게 해당되며,
다음 연도에 태어날 아기도 토끼띠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토끼는 가정의 안전을 상징한다고 하니
내년 계묘년에는 모든 사람들의 가정에 풍요와 평화가 넘치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최저시급이란 무엇일까요?
최저시급은 국가가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한 것으로,
근로자에게 최저 수준의 임금을 보장하여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그렇다면 2023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요?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발표한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2022년 최저시급인 9,160원에서 460원 인상되었고,
2022년 대비 5%가 인상되면서 최저시급이 점점 만원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만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또한 하루 8시간 근무 시 최저 일급은 76,960원이고 월급은 2,010,580원, 4대보험이 가입이 되어 있다면 실수령액은 약 181만원 정도입니다
이것은 주휴수당이 포함된 것이지만 현재 정부에서는 주휴수당의 폐지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폐지가 된다면 약 35만원 정도의 금액이 빠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이로 인해 현재 노동계에서 엄청난 반발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3년 공휴일
이제 2023년의 휴일이 얼마나 되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의 공식적인 공휴일은 총 67일이라고 하며 2022년보다 이틀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신정과 설날이 일요일과 겹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주 5일제로 일하셔서 토요일까지 쉬는 분이시라면,
2023 휴일에 토요일 52일을 더해서 총 116일을 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1월~12월까지 어떤 공휴일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1월 1일(신정) - 1월의 첫 번째날로 공휴일이지만 2023년에는 1월 1일이 일요일이고 신정은 대체공휴일로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너무 아쉽습니다
1월 21일~23일+대체공휴일 1월 24일(설날) - 1월 22일 설날과 일요일이 겹치기 때문에 1월 24일 월요일이 대체공휴일로 적용됩니다
2월 : 없음
3월 1일(삼일절) - 1919년 3월 1일 한국의 독립 의사를 전 세계에 알린 날로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4월 : 없음
5월 1일(근로자 한정 휴일)
5월 5일(어린이날) - 모든 어린이들이 행복한 날
5월 27일(부처님 오신 날)
6월 6일(현충일) - 민족과 국가의 발전에 목숨을 바친 모든 이들을 애도하고 추모하는 날
7월 : 없음
8월 15일(광복절) - 우리 나라의 주권을 되찾은 기념적인 날
9월 28일~30일(추석) - 민족 대명절
10월 3일(개천절) - 한반도 역사 첫 국가인 고조선을 기념하는 날
10월 9일(한글날) -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깨닫는 날
11월 : 없음
12월 25일(크리스마스) - 예수 그리스도 탄생기념일
2023년 해돋이
매일 뜨고 지는 태양이지만 새해를 맞아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소원을 빌기 위해
해돋이를 보러 가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개인적으로 뽑은 2023년 계묘년의 첫 일출을 보면 좋을 곳을 추천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강릉 정동진입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해돋이 명소 중의 명소이고 매년마다 새해 일출을 보기 위한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또한 그 동안 코로나 19로 인해 시행되지 못했던 해넘이, 해맞이 행사를 약 3년 만에 진행할 계획이라고 하니 참고하셔서 멋진 풍경을 눈에 담으시길 바랍니다
두 번째는 포항 호미곶입니다
정동진만큼 해돋이 명소로 인기가 많은 곳이고, 호미곶 광장과 바다에 설치된 '상생의 손' 뒤 쪽으로 떠오르는 일출을 찍으며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생의 손이 인류가 화합하고 화해하며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자는 의미로 만들어진 조각물이기에 그 앞에서 가족 또는 연인과 소원을 같이 빈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세 번째는 제주도 성산일출봉입니다
언제 가도 설레는 섬, 제주도의 대표적인 해돋이 명소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름다운 일출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또한 이번에 2년간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던 성산 일출 축제가 22년 12월 30일부터 23년 1월 1일까지 대면 행사로 진행될 계획이라고 하며, 유네스코에서도 인정한 관광 으뜸명소이기 때문에 꼭 한 번쯤은 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댓글